Bounce (본 조비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배경
- 3. 곡 목록
- 3.1. 정규 앨범
- 3.2. Undivided
- 3.3. Everyday
- 3.4. The Distance
- 3.5. Joey
- 3.6. Misunderstood
- 3.7. All About Lovin' You
- 3.8. Hook Me Up
- 3.9. Right Side of Wrong
- 3.10. Love Me Back to Life
- 3.11. You Had Me from Hello
- 3.12. Bounce
- 3.13. Open All Night
- 3.14. 일본반 보너스 트랙
- 3.15. No Regrets (Demo)
- 3.16. Postcards from the Wasteland (Demo)
- 3.17. 2010 스페셜 에디션 보너스 트랙
- 3.18. The Distance (Live)
- 3.19. Joey (Live)
- 3.20. Hook Me Up (Live)
- 3.21. Bounce (Live)
- 4. 가사와 음악
- 5. 평가
- 6. 참여진
- 6.1. 본 조비 (멤버)
- 6.2. 존 본 조비
- 6.3. 리치 샘보라
- 6.4. 데이비드 브라이언
- 6.5. 티코 토레스
- 6.6. 추가 연주자
- 6.7. 휴 맥도널드
- 6.8. 제리 코헨
- 6.9. 안드레아스 칼슨
- 6.10. 사무엘 웨르모
- 6.11. 데이비드 캠벨
- 6.12. 루크 에빈
- 6.13. 녹음 담당자
- 6.14. 루크 에빈
- 6.15. 존 본 조비
- 6.16. 리치 샘보라
- 6.17. 데즈몬드 차일드
- 6.18. 안드레아스 칼슨
- 6.19. 오비 오브라이언
- 6.20. 마이크 리우
- 6.21. 게리 토울
- 6.22. 그레이엄 호손
- 6.23. 에프레인 "ET" 토레스
- 6.24. 사무엘 웨르모
- 6.25. 마크 제임슨
- 6.26. 밥 "Clear-Fuckin'" 마운틴
- 6.27. 케빈 하프
- 6.28. 팀 홀랜드
- 6.29. 크리스 "럼피" 호프슈나이더
- 6.30. 조지 마리노
- 6.31. 스티븐 마르쿠센
- 6.32. 아트워크
- 6.33. 케빈 웨스터버그
- 6.34. 케빈 레이건
- 6.35. 브렛 헤일리
- 7. 차트
- 7.1. 주간 차트
- 7.2. 아르헨티나 앨범 (CAPIF) - 4위
- 7.3. 호주 앨범 (ARIA) - 5위
- 7.4. 오스트리아 앨범 (Ö3 오스트리아) - 3위
- 7.5.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플랜더스) - 4위
- 7.6.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왈로니아) - 9위
- 7.7. 캐나다 앨범 (빌보드) - 3위
- 7.8. 덴마크 앨범 (히트리스텐) - 19위
- 7.9. 네덜란드 앨범 (메하하르츠) - 2위
- 7.10. 유럽 앨범 (빌보드) - 1위
- 7.11. 핀란드 앨범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 - 2위
- 7.12. 프랑스 앨범 (SNEP) - 8위
- 7.13. 독일 앨범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 - 2위
- 7.14. 헝가리 앨범 (MAHASZ) - 10위
- 7.15. 아일랜드 앨범 (IRMA) - 5위
- 7.16. 이탈리아 앨범 (FIMI) - 6위
- 7.17. 일본 앨범 (오리콘) - 3위
- 7.18. 뉴질랜드 앨범 (RMNZ) - 19위
- 7.19. 노르웨이 앨범 (VG-리스타) - 9위
- 7.20. 스코틀랜드 앨범 (OCC) - 2위
- 7.21. 스페인 앨범 (PROMUSICAE) - 2위
- 7.22. 스웨덴 앨범 (스베리예토프리스탄) - 4위
- 7.23. 스위스 앨범 (슈바이처 히트파라데) - 2위
- 7.24. 영국 앨범 (OCC) - 2위
- 7.25. 미국 빌보드 200 - 2위
- 7.26. 연말 차트
- 7.27. 오스트리아 앨범 (Ö3 오스트리아) - 28위
- 7.28. 벨기에 앨범 (울트라탑 플랜더스) - 51위
- 7.29. 캐나다 앨범 (닐슨 사운드스캔) - 93위
- 7.30. 캐나다 메탈 앨범 (닐슨 사운드스캔) - 13위
- 7.31. 네덜란드 앨범 (앨범 톱 100) - 62위
- 7.32. 유럽 (유러피안 톱 100 앨범) - 45위
- 7.33. 독일 앨범 (오피셜 탑 100) - 31위
- 7.34. 일본 앨범 (오리콘) - 69위
- 7.35. 스위스 앨범 (슈바이처 히트파라데) - 26위
- 7.36. 영국 앨범 (OCC) - 113위
- 7.37. 전 세계 앨범 (IFPI) - 31위
- 8. 인증
- 9. 타이업
- 10. 기타
- 참조
1. 개요
''Bounce''는 2002년 발매된 본 조비의 여덟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은 2001년 9.11 테러 이후의 슬픔, 희망, 회복을 주제로 하며, 발매와 함께 일본에서 특별 라이브 공연을 가졌다.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앨범은 여러 국가에서 차트 상위권에 올랐고, 여러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11 테러를 소재로 한 작품 - 그라운드 제로 (드라마)
그라운드 제로는 이주현, 김천수, 유동선을 중심으로 김남진, 김갑수, 박철민 등의 배우가 주요 등장인물로 출연하는 드라마다. - 9·11 테러를 소재로 한 작품 - Freedom (폴 매카트니의 노래)
폴 매카트니가 9·11 테러에 대한 반응으로 작곡한 《Freedom》은 희생자를 추모하고 뉴욕 시민들에게 희망을 전달하고자 한 노래로, 에릭 클랩튼의 기타 참여와 슈퍼볼 공연 등을 통해 9·11 테러 희생자를 기리는 상징적인 곡이 되었다. - 본 조비의 음반 - 7800° Fahrenheit
1985년에 발매된 본 조비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7800° Fahrenheit는 밴드의 불만족에도 불구하고 티코 토레스의 작곡 참여, "Tokyo Road" 수록, '바위도 녹이는 온도'를 뜻하는 제목, 빌보드 200 연말 차트 72위 기록, 그리고 여러 국가에서의 인증을 특징으로 한다. - 본 조비의 음반 - Burning Bridges (본 조비의 음반)
본 조비의 2015년 13번째 정규 음반인 《Burning Bridges》는 머큐리 레코드와의 계약 이행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리치 샘보라 탈퇴 후 첫 앨범이자 데즈몬드 차일드가 참여하지 않은 첫 앨범이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Bounce (본 조비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본 조비 |
발매일 | 2002년 10월 8일 |
녹음 | 2002년 3월 ~ 6월 |
장르 | 하드 록 헤비 메탈 팝 록 |
길이 | 49분 10초 |
레이블 | 아일랜드 머큐리 |
프로듀서 | 루크 에빈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 |
싱글 | |
싱글 1 | 에브리데이 |
싱글 1 발매일 | 2002년 8월 19일 |
싱글 2 | 미스언더스투드 |
싱글 2 발매일 | 2002년 11월 13일 |
싱글 3 | 바운스 |
싱글 3 발매일 | 2002년 11월 13일 |
싱글 4 | 더 디스턴스 |
싱글 4 발매일 | 2003년 2월 19일 (일본 한정) |
싱글 5 | 올 어바웃 러빈 유 |
싱글 5 발매일 | 2003년 5월 12일 |
관련 앨범 | |
이전 앨범 | 원 와일드 나이트 라이브 1985–2001 |
이전 앨범 발매년도 | 2001년 |
다음 앨범 | 디스 레프트 필즈 라이트 |
다음 앨범 발매년도 | 2003년 |
차트 순위 | |
미국 빌보드 200 | 2위 |
영국 UK 앨범 차트 | 2위 |
일본 오리콘 차트 | 3위 |
인증 | |
일본 레코드 협회 | 플래티넘 |
2. 배경
2001년 7월 말, 본 조비는 뉴저지주에 있는 자이언츠 스타디움에서 두 번의 매진 공연을 끝으로 One Wild Night Tour를 마치고, Crush의 후속 앨범을 위한 곡 작업을 시작했다.[64] 존 본 조비는 《빌보드》와의 인터뷰에서 2002년 1월부터 밴드가 녹음을 시작할 계획이며, 2003년에 밴드 20주년 기념 박스 세트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8] 2001년 6월부터 10월 사이에 밴드는 25곡을 작곡하고 그 중 12곡을 데모로 제작했는데, 이 중에는 9·11 테러의 영향을 받은 〈Standing〉과 〈Another Reason to Believe〉가 포함되어 있었다.[65][66][9][10]
wikitext
밴드는 3주간의 휴식 후, 존과 리치 샘보라는 로스앤젤레스와 뉴저지에서 곡을 쓰기 시작했다. 2001년 11월에는 뉴저지에서 새로운 곡들의 데모를 제작했고, 존은 TV 시리즈 《앨리 맥빌》 출연으로 인해 샘보라의 로스앤젤레스 집에 머물며 루크 에빈의 집에서 작곡과 데모 제작을 계속했다. 이러한 과정은 2002년 3월까지 이어졌고, 2002년 3월부터 6월까지 앨범 녹음이 진행되었다.[67] 2002년 7월 초에는 앨범에 수록될 모든 곡들이 믹싱되었고, 7월 말에는 마스터링이 완료되었다.[11] 1년도 채 되지 않아 밴드는 약 40곡을 작곡했으며, 그중 12곡이 앨범에 수록되었고, 일부는 데모 버전으로 B면 싱글로 발매되었다.[11] 9.11 테러 직후 작곡된 곡들은 주로 비통한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존은 이러한 곡들은 작곡만 되었을 뿐 녹음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67]
이 앨범은 비관주의에서 낙관주의로, 비관주의에서 긍정적 사고로 이끌어내는 내용의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9.11 테러의 영향이 짙게 반영되었다.[52] 앨범 발매에 맞춰 멤버들은 일본을 방문하여 Zepp Tokyo에서 한정 스페셜 라이브를 개최했다.[53] 2003년 1월에는, 서양 음악 아티스트 최초로 일본 5대 돔 구장에서의 라이브를 개최했으며, 디스크 재킷과 〈에브리데이〉(''Everyday'')의 뮤직 비디오를 연상시키는 파라볼라 안테나가 무대 세트 위에 설치되었다.
3. 곡 목록
# 제목 작사·작곡 재생 시간 1 "Undivided"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3:53 2 "Everyday"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 3:00 3 "The Distanc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4:48 4 "Joey"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4:54 5 "Misunderstood"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 3:30 6 "All About Lovin' You"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 3:46 7 "Hook Me Up"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 3:54 8 "Right Side of Wrong" 존 본 조비 5:50 9 "Love Me Back to Lif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4:09 10 "You Had Me From Hello"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 3:49 11 "Bounc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3:11 12 "Open All Night"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4:22 일본반 보너스 트랙 13 "No Regrets" 존 본 조비 4:02 14 "Postcards from the Wasteland" 존 본 조비 4:25 2010 스페셜 에디션 보너스 트랙 13 "The Distance" (Liv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5:46 14 "Joey" (Liv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5:26 15 "Hook Me Up" (Liv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 4:46 16 "Bounce" (Live)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3:15
3. 1. 정규 앨범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Undivided" |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 3:53 |
2 | "Everyday" | 본 조비,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 | 3:00 |
3 | "The Distance" | 본 조비,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 4:48 |
4 | "Joey" | 본 조비, 샘보라 | 4:54 |
5 | "Misunderstood"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30 |
6 | "All About Lovin' You"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46 |
7 | "Hook Me Up" | 본 조비, 샘보라, 칼손, 차일드 | 3:54 |
8 | "Right Side of Wrong" | 본 조비 | 5:50 |
9 | "Love Me Back to Life" | 본 조비, 샘보라 | 4:09 |
10 | "You Had Me From Hello" | 본 조비, 샘보라, 칼손 | 3:49 |
11 | "Bounce" | 본 조비, 샘보라, 팔콘 | 3:11 |
12 | "Open All Night" | 본 조비, 샘보라 | 4:22 |
일본반 보너스 트랙 | |||
13 | "No Regrets" (데모) | CD에서는 곡이 재생되기까지 약 16분 간의 공백이 있다. | |
14 | "Postcards from the Wasteland" (데모) |
3. 2. Undivided
"Undivided"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이 작사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3:53이다.3. 3. Everyday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3분이다.3. 4. The Distance
"The Distance"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가 작사·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4분 48초이다.3. 5. Joey
"Joey"는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가 작사, 작곡한 곡이다. 곡의 재생 시간은 4분 54초이다.3. 6. Misunderstood
"Misunderstood"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이 작사작곡한 곡이다. 재생 시간은 3분 30초이다.3. 7. All About Lovin' You
"All About Lovin' You"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안드레아스 칼손이 작사, 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3분 46초이다.3. 8. Hook Me Up
"Hook Me Up"은 본 조비의 2002년 음반 ''Bounce''에 수록된 곡이다.3. 9. Right Side of Wrong
"Right Side of Wrong"은 존 본 조비가 작사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5분 50초이다.3. 10. Love Me Back to Life
"Love Me Back to Life"는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가 작사, 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4분 9초이다.3. 11. You Had Me from Hello
"You Had Me From Hello"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이 작사작곡한 곡으로, 재생 시간은 3분 49초이다.3. 12. Bounce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시간 |
---|---|---|---|
1 | Undivided |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 3:53 |
2 | Everyday | 본 조비,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 | 3:00 |
3 | The Distance | 본 조비,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 4:48 |
4 | Joey | 본 조비, 샘보라 | 4:54 |
5 | Misunderstood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30 |
6 | All About Lovin' You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46 |
7 | Love Me Back to Life | 본 조비, 샘보라 | 4:09 |
8 | Right Side of Wrong | 본 조비 | 5:50 |
9 | Love Me Back to Life | 본 조비 | 4:9 |
10 | You Had Me From Hello | 본 조비, 샘보라, 칼손 | 3:49 |
11 | Bounce | 본 조비, 샘보라, 팔콘 | 3:11 |
12 | Open All Night | 본 조비, 샘보라 | 4:22 |
3. 13. Open All Night
"Open All Night"는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가 작사, 작곡한 곡으로, Bounce (본 조비의 음반)에 수록되어 있다. 재생 시간은 4분 22초이다.3. 14. 일본반 보너스 트랙
일본반 보너스 트랙에 수록된 곡들은 다음과 같다.#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시간 |
---|---|---|---|
1 | Undivided |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 | 3:53 |
2 | Everyday | 본 조비,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 | 3:00 |
3 | The Distance | 본 조비,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 | 4:48 |
4 | Joey | 본 조비, 샘보라 | 4:54 |
5 | Misunderstood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30 |
6 | All About Lovin' You |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 | 3:46 |
7 | Love Me Back to Life | 본 조비, 샘보라 | 4:09 |
8 | Right Side of Wrong | 본 조비 | 5:50 |
9 | Love Me Back to Life | 본 조비 | 4:9 |
10 | You Had Me From Hello | 본 조비, 샘보라, 칼손 | 3:49 |
11 | Bounce | 본 조비, 샘보라, 팔콘 | 3:11 |
12 | Open All Night | 본 조비, 샘보라 | 4:22 |
3. 15. No Regrets (Demo)
"No Regrets"는 본 조비의 2002년 음반 Bounce의 데모 버전으로, 음반에는 수록되지 않았다.3. 16. Postcards from the Wasteland (Demo)
"Postcards from the Wasteland"는 본 조비의 2002년 음반 Bounce의 초기 데모 버전이다. 이 데모 버전에는 정규 앨범에 수록된 곡들의 초기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 수록곡으로는 "Undivided", Everyday, "The Distance", "Joey", Misunderstood, All About Lovin' You, "Love Me Back to Life", "Right Side of Wrong", "You Had Me From Hello", Bounce, "Open All Night" 등이 있다.3. 17. 2010 스페셜 에디션 보너스 트랙
wikitable제목 | 작사작곡 | 재생시간 |
---|---|---|
The Distance (Live) | ||
Joey (Live) | ||
Hook Me Up (Live) | ||
Bounce (Live) |
3. 18. The Distance (Live)
"The Distance"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가 작사·작곡한 곡으로, 4분 48초 길이이다.3. 19. Joey (Live)
"Joey"는 존 본 조비와 리치 샘보라가 작사작곡한 곡으로, 4분 54초 동안 재생된다.3. 20. Hook Me Up (Live)
"Hook Me Up"은 음반 《Bounce》에 수록된 곡이 아니며, 주어진 소스 자료에도 해당 곡에 대한 정보는 없다. 따라서 "Hook Me Up (Live)"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3. 21. Bounce (Live)
Bounce (Live) 섹션에서는 본 조비가 라이브로 부른 노래들에 대해 설명한다.Undivided는 존 본 조비, 리치 샘보라, 빌리 팔콘이 작사작곡 했으며 재생시간은 3분 53초이다. Everyday는 본 조비, 샘보라, 안드레아스 칼손이 작사작곡 했으며 3분동안 재생된다. The Distance는 본 조비, 샘보라, 데스몬드 차일드가 작사작곡했고 재생시간은 4분 48초이다. Joey는 본 조비와 샘보라가 작사작곡했고 4분 54초 동안 재생된다. Misunderstood는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이 작사작곡했고 3분 30초 동안 재생된다. All About Lovin' You는 본 조비, 샘보라, 차일드, 칼손이 작사작곡했고 재생시간은 3분 46초이다. Love Me Back to Life는 본 조비와 샘보라가 작사작곡했고 4분 9초 동안 재생된다. Right Side of Wrong은 본 조비가 작사작곡했고 5분 50초 동안 재생된다. Love Me Back to Life는 본 조비가 작사작곡했고 4분 9초 동안 재생된다. You Had Me From Hello는 본 조비, 샘보라, 칼손이 작사작곡했으며 3분 49초 동안 재생된다. Bounce는 본 조비, 샘보라, 팔콘이 작사작곡했으며 3분 11초 동안 재생된다. Open All Night는 본 조비와 샘보라가 작사작곡했고 4분 22초 동안 재생된다.
4. 가사와 음악
9.11 테러의 영향으로, 이 음반의 가사는 슬픔, 희망, 회복, 연대 등의 주제를 다룬다.[12] 〈Undivided〉는 "어느 누구도 섬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통해 함께 할 때 더 강하다는 것을 강조한다.[12] 〈Everyday〉는 매일을 최대한으로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삶의 고난을 이겨내고 다시 일어설 것을 격려한다.[11][13] 〈The Distance〉는 영화적인 스타일로 쓰여졌으며, 목표를 향한 열정과 결의를 노래한다.[14] 〈Joey〉는 엘튼 존의 〈레본〉(1971)에서 영향을 받은 곡이다.[15] 〈Misunderstood〉는 잘못된 말과 그 결과에 대한 노래이며, 존 본 조비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쓴 곡이다.[16] 〈All About Lovin' You〉는 사랑의 중요성을 재발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7]
〈Hook Me Up〉은 외부 세계와의 소통을 갈망하는 팔레스타인인 청년에 대한 기사에서 영감을 받았다.[18] 〈Right Side of Wrong〉은 영화 "내일을 향해 쏴라"와 같은 노래이다.[19] 〈Love Me Back to Life〉는 세상에 지친 이들에게 다시 생기를 불어넣어 줄 무언가에 대한 필요성을 노래한다.[20] 〈You Had Me from Hello〉는 영화 "제리 맥과이어"의 대사에서 제목을 따왔다.[21] 〈Bounce〉는 9.11 테러 이후 강인함과 저항을 선언하는 곡이다.[11][22] 〈Open All Night〉는 TV 드라마 "앨리 맥빌"의 등장인물 간 대화 형식으로 쓰여졌다.[23]
5. 평가
''Bounce''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리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정규화하여 점수를 매기는 ''메타크리틱''에서는 8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61점을 기록했다.[30]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본 조비가 그들의 음악에 개성, 멜로디, 힘을 부여하는 모든 것을 의식적으로 피하기로 결정한 레코드"라고 혹평했다.[24]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데이비드 브라운은 C 등급을 매기며 "9.11과 관련된 감정과 상황을 경기장 응원가로 축소시켰다"라고 비판했다.[25]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4점 만점에 2점을 주며 리치 샘보라의 기타 연주보다는 존 본 조비의 영화 및 TV 관심사를 반영한 현악기와 피아노 연주가 과도하다고 평가했다.[26]
반면, ''롤링 스톤''의 개빈 에드워드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9.11 테러 이후 미국을 향한 격려"를 의미하는 제목처럼 "삶은 계속된다는 안도감을 준다"라고 평가했다.[27] ''스푸트니크뮤직''은 5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밀레니엄 시대 최고의 앨범"이라고 호평했다.[28] ''가디언''의 스티븐 풀은 5점 만점에 2점을 주며 엘비스 코스텔로나 엘튼 존처럼 들린다고 평가했다.[29]
6. 참여진
'''본 조비'''
- 존 본 조비 – 리드 보컬, 백 보컬, 프로듀서
- 리치 샘보라 – 기타, "Everyday", "Love Me Back to Life" 및 "Bounce"의 토크 박스, 백 보컬, 프로듀서
- 데이비드 브라이언 – 키보드
- 티코 토레스 – 드럼, 퍼커션
'''추가 연주자'''
- 휴 맥도날드 – 베이스
- 제리 코헨 – 불특정 음악적 기여
- 안드레아스 칼슨 – 불특정 음악적 기여, 공동 프로듀서
- 사무엘 웨르모 – 불특정 음악적 기여, 추가 엔지니어링, 프로그래밍
- 데이비드 캠벨 – 오케스트라 편곡
- 루크 에빈 – 오케스트라 편곡, 프로듀서, 프로그래밍
'''녹음 담당자'''
- 데즈몬드 차일드 - 공동 프로듀서
- 오비 오브라이언 – 엔지니어
- 마이크 리우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게리 토울 – Pro-Tools, 추가 엔지니어링
- 그레이엄 호손 – Pro-Tools 편집
- 에프레인 "ET" 토레스 – 추가 Pro-Tools 엔지니어링
- 마크 제임슨 – 프로그래밍 ("You Had Me from Hello")
- 밥 "Clear-Fuckin'" 마운틴 – 믹싱
- 케빈 하프 – 믹스 어시스턴트
- 팀 홀랜드 – 기술 지원
- 크리스 "럼피" 호프슈나이더 – 기술 지원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트랙 1, 2, 3, 5, 7, 10 & 11)
- 스티븐 마르쿠센 – 마스터링 (트랙 4, 6, 8, 9 & 12)
'''아트워크'''
- 케빈 웨스터버그 – 사진
- 케빈 레이건 – 아트 디렉션, 디자인
- 브렛 헤일리 – 디자인
6. 1. 본 조비 (멤버)
6. 2. 존 본 조비
6. 3. 리치 샘보라
6. 4. 데이비드 브라이언
6. 5. 티코 토레스
6. 6. 추가 연주자
6. 7. 휴 맥도널드
6. 8. 제리 코헨
6. 9. 안드레아스 칼슨
6. 10. 사무엘 웨르모
6. 11. 데이비드 캠벨
6. 12. 루크 에빈
6. 13. 녹음 담당자
6. 14. 루크 에빈
6. 15. 존 본 조비
6. 16. 리치 샘보라
6. 17. 데즈몬드 차일드
6. 18. 안드레아스 칼슨
6. 19. 오비 오브라이언
6. 20. 마이크 리우
6. 21. 게리 토울
6. 22. 그레이엄 호손
6. 23. 에프레인 "ET" 토레스
6. 24. 사무엘 웨르모
6. 25. 마크 제임슨
6. 26. 밥 "Clear-Fuckin'" 마운틴
6. 27. 케빈 하프
6. 28. 팀 홀랜드
6. 29. 크리스 "럼피" 호프슈나이더
6. 30. 조지 마리노
6. 31. 스티븐 마르쿠센
6. 32. 아트워크
6. 33. 케빈 웨스터버그
6. 34. 케빈 레이건
6. 35. 브렛 헤일리
7. 차트
순위